홋카이도 제12구

덤프버전 : (♥ 0)

||
파일:shuinsen_Hokkaido12.svg
선거인 수283,107명 (2022)
상위 도도부현홋카이도
하위 행정구역오호츠크 종합진흥국,
소야 종합진흥국
국회의원

다케베 아라타




1. 개요[편집]


홋카이도키타미시, 아바시리시[1], 몬베츠시오호츠크 종합진흥국 산하 행정구역들 및 왓카나이시소야 종합진흥국 산하 행정구역들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일본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선거구이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다케베 아라타.


2. 상세[편집]


인근 지역구인 7구와 함께 홋카이도에서 자민당이 강세를 보이는 선거구다. 다케베 일가가 세습 중인 지역구이기도 하다.[2]

여담으로 러시아 국가두마 사할린 선거구와 인접한 선거구다.

현직 의원인 다케베 아라타는 이 지역구에서 여러 차례 당선되었던 다케베 쓰토무 전 자유민주당 간사장의 아들이다. 선거구 역사상 유일하게 비 자민당으로 당선된 마쓰키 겐코 전 의원은 46회 총선에서 패배한 후 지역구를 홋카이도 제2구로 옮겼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홋카이도 제12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다케베 쓰토무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마쓰키 겐코[3]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다케베 아라타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2구
키타미시, 아바시리시, 몬베츠시, 아바시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베 쓰토무92,114표1위


52.0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나가이 데쓰오69,971표2위


39.5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무라구치 데루미14,976표3위


8.46%낙선
유효표 수177,061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2구
키타미시, 아바시리시, 몬베츠시, 아바시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베 쓰토무100,502표1위


53.2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가이 데쓰오74,163표2위


39.2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무라구치 데루미14,109표3위


7.47%낙선
유효표 수188,774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2구
키타미시, 아바시리시, 왓카나이시, 몬베츠시,
소야 지청 관내, 아바시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베 쓰토무118,258표1위


54.3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쓰키 겐코82,731표2위


38.01%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무라구치 데루미16,686표3위


7.67%낙선
유효표 수217,675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2구
키타미시, 아바시리시, 왓카나이시, 몬베츠시,
소야 지청 관내, 아바시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베 쓰토무124,465표1위


51.6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쓰키 겐코101,835표2위


42.2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가와라 마코토14,882표3위


6.17%낙선
유효표 수241,182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2구
키타미시, 아바시리시, 왓카나이시, 몬베츠시,
소야 지청 관내, 아바시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쓰키 겐코127,166표1위


[4]
52.4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베 쓰토무112,690표2위


[5]
46.45%비례당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가사마쓰 나가마로2,763표3위
1.14%낙선
유효표 수242,619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2구
키타미시, 아바시리시, 왓카나이시, 몬베츠시,
소야 지청 관내, 아바시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베 아라타91,208표1위
[6]50.33%당선
파일:신당대지 로고1.png마쓰키 겐코52,976표2위
[7]29.23%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야마자키 마야25,501표3위
[8]14.0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가와라 마코토11,532표4위
6.36%낙선
유효표 수181,217표투표율
60.52%
선거인 수

선거가 가까워질수록 민주당에 대한 민심이 악화된 만큼, 이 선거구도 그 영향을 피해갈 수 없었다. 마쓰키 후보는 43, 44, 45회 3번 연속으로 이 지역구에 출마했지만 중선거구제 시기부터 강력한 기반을 다져왔던 다케베 가문의 영향력과 전국적으로 불었던 민주당 심판 바람을 이기지 못하고 석패율제 구제도 받지 못한채 낙선했다. 마쓰키는 다음해에 있었던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도 낙선한 이후 지역구를 홋카이도 제2구로 옮기게 된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2구
키타미시, 아바시리시, 왓카나이시, 몬베츠시,
소야 종합진흥국 관할구역(호로노베초 제외),
오호츠크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베 아라타92,357표1위
[9]53.4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즈카미 미카62,035표2위
35.8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가와라 마코토18,451표3위
10.68%낙선
유효표 수172,843표투표율
58.70%
선거인 수304,381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2구
키타미시, 아바시리시, 왓카나이시, 몬베츠시,
소야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오호츠크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베 아라타97,113표1위
[10]54.14%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미즈카미 미카58,422표2위
32.5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가와라 마코토23,830표3위
13.29%낙선
유효표 수179,365표투표율
61.48%
선거인 수301,508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12구
키타미시, 아바시리시, 왓카나이시, 몬베츠시,
소야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오호츠크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베 아라타97,634표1위
[11]58.43%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가와하라 에이세이55,321표2위
[12]33.1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가와라 마코토14,140표3위
8.46%낙선
유효표 수167,095표투표율
59.82%
선거인 수286,186인

자민당 다케베 아라타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아바시리시 시의원을 지낸 가와하라 에이세이 후보를 공천했으며, 공산당은 지난 총선에 출마한 스가와라 마코토 후보를 다시 공천했다. 홋카이도에서 자민당이 가장 강한 선거구라, 이곳만큼은 입헌민주당과 공산당의 야권단일화 논의가 별로 진행되지 않았고 두 당 모두 후보를 출마시켰다.

개표 결과 다케베 아라타 후보가 2위 후보와 넉넉한 차이로 당선되며 4선에 성공하였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민당에서는 다케베 아라타 의원의 4선 도전이 예상된다.

입헌민주당에서는 지난 총선에 출마한 가와하라 에이세이 전 아바시리시 시의원이 지역구 지부장으로 재직 중이며, 차기 총선에서 재도전이 예상된다.

[1] 무한도전 오호츠크 해 특집에 나온 그 곳 맞다.[2] 다케베 일가가 중의원에 처음 들어온 시기는 중선거구제가 실시되던 시절인 1986년이다. 다케베 쓰토무는 이전까지 홋카이도의회의원(4선)을 역임했고, 1983년 도의원직을 사직하고 중의원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낙선했다.[3] 본명은 마쓰키 시즈히로이지만, 정치 활동 시에는 음독인 겐코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4]

추천
[5]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9] 추천[10] , 추천[11] 추천[12] 홋카이도 연합 지지